학술지 검색

학술지 검색
숲심리운동 관점의 산림치유 구조모형 연구
한독심리운동학회
한독심리운동학회
심리운동연구
1-34
김윤수
2022
8
1
심리운동, 산림복지, 치유, 숲프로그램
숲 심리운동 관점의 산림치유 개념을 명확히 하기 위해서는 산림치유와 관련된 개념을 분류하고 학문분야를 구성하는 지식체를 어떻게 체계화하여 독자적인 학문분야로 자리잡을 것인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조사대상은 산림에 대한 관심이 높고 산림관련 직업을 가지고 있거나 숲해설사 교육, 산림치유지 도자 교육, 산림생태지도자 교육 등 산림에 관한 교육을 받았거나 받고 있는 자를 대상으로 한다. 연구대상의 선정은 앞서 논의한 이론적 고찰과 우리나라 산림치유 현황을 바탕으로 하였으며, 설문 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도구는 SPSS 22.0과 AMO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표본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빈도 분석과 측정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해 확증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모 형을 검증하고 성별과 연령에 따른 변수 간의 구조적 관계의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기 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목적에 따라 산림치유를 위한 6가지 요인 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산림치유 모형이 구축되었다. 가설검증을 통해 1) 산림체험은 상승적인 관계에서 육체적 건강지각과 심리적 건강지각을 통한 산림치유 사이에 잠재적인 인과관계가 있고, 2) 산림체험과 산림경험과의 관계가 있음이 밝혀졌다. 신체적 건강에 대한 인식과 심리적 건강에 대한 인식을 통해 산림수용과 산림치 유와 인과관계가 있는 산림치유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였다. 그 결과 모형 적합도에서 TLI는 .912, CFI는 .946, RMSEA는 .089(90% 신뢰구간 = .077-.102)로 합리적인 적합도를 나타냈다.
In order to clarify the concept of forest healing from the perspective of forest psychological movement, it is necessary to classify and categorize the concepts related to forest healing, and to study how to systematize the body of knowledge that composes the academic field to establish itself as an independent academic field.
The subjects of the survey are those who have a high interest in forests and have a forestry-related job, or have received or are receiving education on forests, such as forestry interpreter education, forest healing leader education, and forest ecology leader education. The selection of research subjects was based on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s discussed above and the current state of forest healing in Korea,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As analysis tools, SPSS 22.0 and AMOS 22.0 programs were used. Frequency analys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performed to confirm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scale. In addition, the structural equation technique was used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and to characteri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ccordingtogender and age.
Based on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s presented above, this research model was constructed to verif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six factors for forest healing according to the research purpose. Through hypothesis testing, 1) forest experience has a synergistic relationship with forest experience, and there is a potenti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forest inundation and forest healing through the perception of physical health and psychological health, and 2) the relationship between forest experience and forest experience. it turned out that there is Through the awareness of physical health and psychological health,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forest acceptance and forest healing, which has a causal relationship, was investigated. As a result, in the model fit, TLI was .912, CFI was .946, and RMSEA was .089 (90% confidence interval = .077-.102), indicating a reasonable fi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한독심리운동학회 소개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용약관 상단으로
전라북도 완주군 삼례읍 삼례로 443 우석대학교 한방재활센터 인지과학연구소   |   Tel : 063-290-1764   |   Fax : 063-291-5313   |  

Copyright © 2005. MOTOLOGIE.CO.KR. All rights reserved.

접속자집계

오늘
267
어제
772
최대
1,112
전체
386,8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