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지 검색

학술지 검색
동화 들려주기 활동이 장애유아에 대한 비장애유아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독심리운동학회
.
심리운동연구
19-41
정명자, 박소영
2018
4
1
유치원 통합교육, 인성동화, 반편견동화, 장애인식 개선
본 연구는 통합교육을 실시하지 않는 유치원에서 인성동화 읽어주기 활동과 반편견동화 읽어주기
활동만으로 비장애유아의 장애유아에 대한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인
천에 소재하는 C유치원 만5세 3학급 64명을 대상으로 1학급은 통제집단, 2학급은 각각 인성동화와
반편견동화 들려주기 활동을 실시한 뒤 비장애유아들의 장애 인식을 조사하여 t검증을 실시한 결과
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성동화를 들려준 집단, 반편견 동화를 들려준 집단, 반편견 동화와 인성동
화모두 들려주지 않은 집단의 비장애유아의 장애 인식과 관련된 사전 동질성 검증 결과, 지체장애
에 대한 개념, 시각장애에 대한 개념, 청각장애에 대한 개념, 장애 친구에 대한 두려움, 장애 친구
의 능력, 장애 친구와의 유사성, 장애인에 대한 마음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성동
화를 들려준 집단, 반편견 동화를 들려준 집단, 반편견 동화와 인성동화모두 들려주지 않은 집단의
집단 간 중재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한 비장애유아의 장애 인식의 사후 차이 검증 결과, 지
체장애에 대한 개념, 시각장애에 대한 개념, 청각장애에 대한 개념, 장애 친구에 대한 두려움, 장애
친구의 능력, 장애 친구와의 유사성, 장애인에 대한 마음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셋째, 인성동화와
반편견동화가 비장애유아의 장애인식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된 개방형 문항 분석 결과도 영향을 주
지 않았다. 따라서 장애유아가 통합되지 않은 유치원에서 인성동화 및 반편견동화 읽어주기 활동만
으로는 비장애유아의 장애유아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비장애유아의 장애인식 개
선을 위해서는 장애유아와의 통합교육 경험이 전제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이는 상이한 집단 구성
원들 간의 개인적이고 긍정적 접촉의 결여로 편견이 발생한다는 접촉 가설을 지지하는 결과로, 유
아들의 장애인식 개선을 위해서는 장애유아와 일반유아가 자연스럽게 함께 생활하는 통합유치원의
확대와 증가하고 있는 문화 다양성의 수용을 준비하는 확장된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at effect on the attitude of the
normal children towards the children with disability could be expected from the
reading of the character-related storybook and anti-bias storybook alone to the
normal children under non-inclusive educational environment.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total 64 children of 5 years old in 3 classes in the kindergarten
'C' located in Incheon city. while reading to the children of 2 classes the
character-related storybook and anti-bias storybook, the rest one class was run
with the other curriculum as usual for the comparison purpose. and the collected
materials were undergone t-test using SPSS 20.0 program.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ly, The posteriori tests conducted to
investigate mediated effect on the concept on the physical disability, visual
handicap, hearing impairment, fear of the handicapped friend, attitude towards the
ability of the handicapped friends, similarity with the handicapped friend and the
overall attitude towards handicapped persons showed that there has been no
significant effect to the attitude of the normal children too. Secondly, The result
of analysing the open type questionnaire regarding the effect of the reading of
the character-related storybook and the anti-bias storybook to the normal
children alone does not achieve meaningful effect on the attitude of normal
children regarding their perception and attitude on the various disabilities of their
friends. In conclusion, In order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he normal
children towards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drastic increase in the number of
the inclusive kindergarten and the further extensive studies on the normal
children's perception on the various types of disability is desperately needed.
I. 서 론

II.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IV. 논의 및 제언

첨부파일

본문


한독심리운동학회 소개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용약관 상단으로
전라북도 완주군 삼례읍 삼례로 443 우석대학교 한방재활센터 인지과학연구소   |   Tel : 063-290-1764   |   Fax : 063-291-5313   |  

Copyright © 2005. MOTOLOGIE.CO.KR. All rights reserved.

접속자집계

오늘
379
어제
449
최대
1,112
전체
384,257